글을 써야 사는 여자
추억이 저무는 창가에서

시인의 향기/바다 한 접시(여)

사라진 손바닥-나희덕

라포엠(bluenamok) 2014. 9. 16. 12:12

 

 

 

 

 

 

 

사라진 손바닥-나희덕

  

 

 

처음엔 흰 연꽃 열어 보이더니

다음엔 빈 손바닥만 푸르게 흔들더니

그 다음엔 더운 연밥 한 그릇 들고 서 있더니

이제는 마른 손목마저 꺾인 채

거꾸로 처박히고 말았네

수많은 槍을 가슴에 꽂고 연못은

거대한 폐선처럼 가라앉고 있네

 

바닥에 처박혀 그는 무엇을 하나

말 건네려 해도

손 잡으려 해도 보이지 않네

발밑에 떨어진 밥알들 주워서

진흙 속에 심고 있는지 고개 들지 않네

 

백 년쯤 지나 다시 오면

그가 지은 연밥 한 그릇 얻어먹을 수 있으려나

그보다 일찍 오면 빈손이라도 잡으려나

그보다 일찍 오면 흰 꽃도 볼 수 있으려나

 

회산에 회산에 다시 온다면  

 

 

 

ㅡ시집『사라진 손바닥』(문학과지성사, 2004)  

 

 

*********************************************************************************

              지금쯤 연못에 연꽃은 가고 연밥이 익어가고 있을까.

시의 제목 ‘사라진 손바닥’은 철지나 사라진 연못 속의 연꽃을 뜻한다.

시의 도입부에서 그려낸 연꽃의 한해살이 묘사는 참으로 절묘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꽃이 지고 연밥 달린 대궁마저 꺾여져 연못 속으로 처박힌 그 풍광을

“수많은 槍을 가슴에 꽂고 연못은/거대한 폐선처럼 가라앉고 있네”

라고 한 이 빼어난 표현은 기막힌 것이다.

그런데 정작으로 시인이 표현하고자 한 속내는 시의 후반부에 모여 있다.

“백 년쯤 지나 다시 오면/ 그가 지은 연밥 한 그릇 얻어먹을 수 있으려나”에서 짐작할 수 있듯

나는 그것을 떠나간 옛사랑에 대한 그리움으로 읽는다.

‘회산’이라는 지명이 어딘지는 잘 모르지만 아마도 시적 화자는

이 곳에서 떠나간 사랑을 애타게 찾고 있는 것이다.

‘사라진 손바닥’은 그러니 화자의 지나간 옛 사랑의 얼굴이다.

불교의 인연설(因緣說)을 바탕에 두고 있는

나희덕의「사라진 손바닥」은 ‘찬란한 슬픔’의 아름다운 시다.

 

ㅡ이종암(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