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詩語가 들어가면 그 詩는 낙제 수준 / 안도현
신중하고 특별한 어떤 의도 없이
아래의 시어가 시에 들어가 박혀 있으면 그 시는 읽어 보나마나 낙제 수준이다.
갈등 갈망 갈증 감사 감정 개성 격정 결실 고독 고백 고별 고통 고해 공간 공허 관념
관망 광명 광휘 군림 굴욕 귀가 귀향 긍정 기도 기억 기원 긴장 낭만 내공 내면 도취
독백 독선 동심 명멸 모욕 문명 미명 반역 반추 배반 번뇌 본연 부재 부정 부활 분노
불면 비분 비원 삭막 산화 상실 상징 생명 소유 순정 시간 신뢰 심판 아집 아첨 암담
암흑 애련 애수 애정 애증 양식 여운 역류 연소 열애 열정 영겁 영광 영원 영혼 예감
예지 오만 오욕 오한 오해 욕망 용서 운명 원망 원시 위선 위안 위협 의식 의지 이국
이념 이별 이역 인생 인식 인연 일상 임종 잉태 자비 자유 자학 잔영 저주 전설 절망
절정 정신 정의 존재 존중 종교 증오 진실 질서 질식 질투 차별 참혹 처절 청춘 추억
축복 침묵 쾌락 탄생 태만 태초 퇴화 패망 편견 폐허 평화 품격 풍자 피폐 필연 해석
행복 향수 허락 허세 허위 현실 혼령 혼령 화려 화해 환송 황폐 회상 회억 회의
회한 후회 휴식 희망
“진부한 말이란 보통 사람들이 일상에서 쓰는 말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모든 경서와 옛사람들이 이미 언급한 말의 대부분이 이른바 진부한 말이다.”
(김창협, <농암잡지> 외편)
시는 이런 진부한 시어의 무게를 감당할 수가 없다.
사유라는 것은 원래 그 속성상 관념적인 것이고 추상적인 법이다.
하지만 관념을 말하기 위해 관념어를 사용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학대행위다.
관념어는 구체적인 실재를 개념화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관념어가 시만 좀먹고 있는 게 아니다. 예식장에도 있다.
흔해빠진 주례사가 그것이다.
행복과 공경과 우애와 사랑이라는 말이 들어간 주례사가 귀에 들리면 한시바삐
밥을 먹으러 가고 싶어진다. 진정한 사랑은 개념으로 말하는 순간 지겨워진다.
황지우의 시처럼 “그대 옷깃의 솔밥이 뜯어주고 싶게 유난히 커 보이는”
(<늙어가는 아내에게>) 것, 그게 사랑의 표현방식인 것이다.
관념어는 진부할 뿐 아니라 삶을 왜곡시키고 과장할 수도 있다.
또한 삶의 알맹이를 찾도록 하는 게 아니라 삶의 껍데기를 어루만지게 한다.
당신의 습작노트를 수색해 관념어를 색출하라. 그것을 발견하는 즉시 체포하여 처단하라.
암세포 같은 관념어를 죽이지 않으면 시가 병들어 죽는다.
상상력을 옥죄고 언어의 잔칫상이어야 할 시를 난장판으로 만드는
관념어를 척결하지 않고 시를 쓴다네, 하고 떠벌이지 마라.
관념어를 떠나보내고 나면 그 휑하니 빈자리가 몹시 쓸쓸하게 보일 것이다.
당신은 그 빈자리를 오래 응시하라. 당신의 상상력이 가동하기 시작할 것이고,
상상력은 이미지라는 처녀를 데리고 올 것이다.
말로 그림을 그릴 줄 아는 그 처녀를 꽉 붙잡고 놓지 마라.
관념어를 떠나보낸 자리에 그 처녀를 정실부인으로 들어앉혀라.
그래도 관념어의 옛정이 그리워져 못 견디게 쓰고 싶거든
그 말을 처음 쓴 지 30년 후쯤에나 써라.
- 안도현 시인의 글 중에서 -
'정보 창고 > 창작 도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운 우리 말-두루치기 (0) | 2014.11.20 |
---|---|
문숙의 시 해설/ 생활제재의 비극화와 회고적 연애의 상상-공광규 (0) | 2014.08.15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경기창조학교- 한국 현대시의 산맥/미당 서정주 (0) | 2014.06.28 |
(시 만들기) 이근배 멘토 13 시(詩) 작법9 –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밀기 (0) | 2014.06.27 |
(시 만들기) 이근배 멘토 12 시(詩) 작법8 – 꼬리가 길면 밟힌다 (0) | 2014.06.27 |